[Network] UTP 케이블
글 작성자: SeoArc
UTP 케이블?
UTP 케이블은 Unshield Twisted Pair 케이블의 줄임말로 절연체로 감싸여 있지 않은 쌍으로 꼬인 케이블을 의미한다. 우리가 흔히 랜선이라고 부르는 케이블이다. 큰 범주로 이더넷 케이블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UTP 케이블 뿐만 아니라 STP(Shield Twisted Pair) 케이블도 있다.
UTP 케이블 카테고리
UTP 케이블은 전송 가능 대역폭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다.
아무리 빠른 네트워크가 들어와도 스펙에 맞지 않는 케이블을 사용한다면 빠른 전송속도를 사용할 수 없다.
- 카테고리 1: 주로 전화망에 사용하는 용도로 만들어진 케이블. 데이터 전송용으로는 부적합하다.
- 카테고리 2: 데이터를 최대 4Mbps의 속도로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케이블
- 카테고리 3: 10 Base T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케이블. 최대 10Mbps 속도까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 100Mbps 속도에도 적용 가능한 케이블이지만 실제로 구성하는 일은 드물다.
- 카테고리 4: 토큰링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케이블. 최대 16Mbps까지 전송 가능하다.
- 카테고리 5: 최대 전송 속도 100Mbps를 지원하는 Fast Ethernet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기가비트 표준이 완성되면서 이 케이블로도 기가비트 속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다.
- 현재는 카테고리 5E의 보편화로 유지보수용으로 사용한다.
- 카테고리 5E: UTP와 FTP로 나뉘며, 가정용 Lan Cable로 주로 사용한다.
- 카테고리 6: 1Gbps를 지원한다.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카테고리 6A: 카테고리 6에 비해 두배 향상된 기능을 지원한다.
- 카테고리 7: 최근 카테고리 6A와 함께 나오기 시작한 규격으로, 차세대 규격인 S-FTP 케이블이다. 각 페어마다 은박 실드로 보호 후 다시 한 번 편조 실드를 통해 케이블을 보호한다. 최대 10Gbps를 지원한다.
카테고리 1 ~ 4는 현재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TCP/IP (0) | 2023.03.19 |
---|---|
[Network] OSI 7 Layer (0) | 2023.03.19 |
[Network] 유니캐스트 / 멀티캐스트 / 브로드캐스트 (1) | 2023.03.17 |
[Network] 맥 주소(Mac Address) (1) | 2023.03.15 |
[Network] 이더넷(Ethernet) (1) | 2023.03.14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Network] OSI 7 Layer
[Network] OSI 7 Layer
2023.03.19 -
[Network] 유니캐스트 / 멀티캐스트 / 브로드캐스트
[Network] 유니캐스트 / 멀티캐스트 / 브로드캐스트
2023.03.17유니캐스트(Unicast) 가장 많이 사용하는 통신 방법으로 목적지 주소 하나만 적어서 그 PC 하나에게만 보내는 방식이다. 즉, 1:1 통신이다. 어떤 한 PC가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에 자신의 맥 주소와 목적지의 맥 주소를 첨부하여 전송한다.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시스템들은 그 맥 주소를 받아서 자신의 랜카드의 맥 주소와 비교하여 같다면 프레임을 받아서 처리하고, 같지 않다면 버린다. CPU에 전달하지 않고 바로 버리기 때문에 CPU에 영향을 주지 않아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안에 있는 모든 PC들에게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1:N 통신이다. 브로드캐스트는 주소가 미리 정해져있으며, 유니캐스트와 다르게 브로드캐스트는 맥 주소가 … -
[Network] 맥 주소(Mac Address)
[Network] 맥 주소(Mac Address)
2023.03.15 -
[Network] 이더넷(Ethernet)
[Network] 이더넷(Ethernet)
2023.03.14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